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8

지구과학1 개념 정리 1-2-4 <지질 시대의 환경과 생물> (2015 개정, 지엽 및 선지 포함) 이번 단원에서는 화석, 고기후 연구, 지질 시대의 구분, 지질 시대의 환경과 생물에 대해서 다뤄보겠다. 먼저 화석이란 무엇일까? 화석이란 생물의 유해나 흔적이 지층 속에 보존된 것으로, 주로 퇴적암에서 발견된다. 화석의 생성 조건으로는 뼈, 이빨, 껍데기, 줄기 등의 단단한 부분일 것, 사후에 빠르게 묻혔을 것, 원래의 성분이 화석화 작용을 거쳤을 것, 퇴적암이 생성된 후 지각 변동이나 변성 작용을 거치지 않았을 것 등이 있다. 이때 화석화 작용이란 원래 생명체의 성분이 재결정되고 광물질로 치환되면서 탄소 성분만 남아 단단해지는 것이다. 화석은 어디에 이용할 수 있을까? 화석은 지층을 대비할 때, 지질 시대의 구분, 고기후나 과거의 수륙 분포를 추정할 때, 생물 진화의 증거, 에너지 자원을 탐사할 때 쓰.. 2023. 2. 15.
지구과학1 개념 정리 1-2-3 <지층의 나이> (2015 개정, 지엽 및 선지 포함) 이번에는 관입과 포획이 무엇인지, 지사학 법칙이 무엇인지, 상대 연령과 절대 연령은 무엇인지 살펴보겠다. 관입이란 마그마가 주변의 지층이나 암석 중 약한 부분, 단층면, 절리면 등을 뚫고 들어가는 것으로, 변성 작용의 흔적과 마그마가 급격히 식은 흔적이 나타난다. 관입암은 관입한 마그마가 식어서 굳은 암석이다. 가장자리의 냉각 속도가 중심부의 냉각 속도보다 빠르기 때문에 중심부의 결정이 가장자리의 결정보다 크다. 관입암상은 마그마가 주변 암석과 평행하게 흘러 들어가 굳은 것이다. 암맥은 마그마가 주변 암석을 가로질러 관입한 후 굳은 것이다. 포획은 마그마가 관입할 때 주변 암석의 일부가 떨어져 나와 마그마에 포함되는 것을 말한다. 화성암과 주변 암석의 생성 순서를 추정할 수 있다. 지사학 법칙이란 현재 .. 2023. 2. 12.
지구과학1 개념 정리 1-2-2 <지질 구조> (2015 개정, 지엽 및 선지 포함) 본 글에서는 우리나라의 퇴적 지형에는 무엇이 있는지, 지질 구조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겠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고생대 퇴적 지형으로는 강원도 태백시 구문소와 강원도 석회암 지대가 있다. 강원도 태백시 구문소는 고생대 초기의 퇴적 지형으로 퇴적 당시 바다였고, 셰일과 석회암이 분포한다. 연흔과 건열이 관찰되고 고생대 삼엽충과 완족류 화석이 발견된다. 강원도 석회암 지대는 퇴적 당시 바다였고, 석회암이 분포한다. 고씨동굴과 같은 석회 동굴과 종유석, 석순, 석주 등이 관찰된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중생대 퇴적 지형으로는 경기도 화성시 시화호, 전라북도 부안군 채석강, 전라북도 진안군 마이산, 경상남도 고성군 덕명리 해안이 있다. 경기도 화성시 시화호는 중생대 백악기의 퇴적 지형으로 퇴적 당시 호수였고, .. 2023. 2. 10.
지구과학1 개념 정리 1-2-1 <퇴적 구조와 퇴적 환경> (2015 개정, 지엽 및 선지 포함) 본 글에서는 퇴적암이 무엇인지, 퇴적 환경과 퇴적 구조에 대해 알아보겠다. 퇴적암이란 지표의 암석이 풍화, 침식을 받아 생성된 쇄설물, 물에 녹아 있는 물질, 생물의 유해 등이 쌓인 퇴적물이 다져지고 굳어져 만들어진 암석이다. 퇴적물이 쌓여 퇴적암이 되기까지의 전체 과정을 속성 작용이라고 하는데, 속성 작용은 다시 다짐 작용과 교결 작용으로 구분된다. 다짐 작용은 퇴적물이 쌓이면서 아랫부분 퇴적물이 위에 쌓인 퇴적물에 눌리면서 치밀하게 다져지는 작용이다. 이때 공극의 크기와 부피는 작아지고, 퇴적물의 밀도는 커진다. 교결 작용은 퇴적물 속 수분, 지하수에 녹아 있던 석회 물질, 규질, 산화철 등의 교결 물질이 퇴적물 사이에 침전되어 알갱이들을 붙게 하여 굳어지게 하는 작용이다. 이러한 속성 작용을 거친 .. 2023. 1. 29.